재테크의 모든 것/퇴직연금

퇴직연금 100억 모으는 방법 | 회사 부담금 납입액, 이율보증형보험, 95단계 중 8단계 달성
1. 2023년도 퇴직금(회사 부담금 납입액) 입금 23년 12월 21일 퇴직연금 2,917,000원이 회사 부담금 납입액으로 납입되었습니다. DC형 퇴직연금 가입자는 퇴직금을 직접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저는 ETF 50% / 예금 50%의 비율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ETF를 투자할 때 목표수익률은 10%를 기준으로 하며, 최소 보유기간은 3개월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퇴직연금 수익금 정산 22년 12월 7일에 신규 예치했던 우리은행 정기예금 1년 만기일자가 도래함으로써, 23년 12월 7일 현금성자산이 생겼습니다. 23년도 퇴직연금의 예금 이자 및 ETF 수익금이 242,682원이고, 23년도 퇴직금 납입액은 2,450,000원, 24년도 퇴직금 납입액은 2,917,000원입니다. 3. 이율보..

퇴직연금 100억 모으는 방법 | 95단계 중 1단계 달성
예금 50% / ETF 50% ETF는 3개월 10% 수익률을 가정하여 투자 1년 총 4번의 복리로 계산하여 초기 목표는 23년 9개월로 잡혀있습니다. 올해를 마무리하면서 그동안 목표는 얼만큼 달성했는지, 돌아볼 시간이 된 것 같습니다. 먼저 잘 지켜지고 있는지 비교 확인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투자에 대한 이유와 그 이후 주가를 보시죠. 1. TIGER여행레저 퇴직연금으로 처음 ETF를 구매한 건 'TIGER여행레저' 입니다. 코로나가 풀리는 시점에 맞춰 여행 수요가 폭증할 시기라고 예측했었죠. 근거를 더 찾을 필요가 없었던 건 주변 모두가 "이번엔 해외여행을 가야겠다"라고 얘기하고 다녔을 때였습니다. 10% 수익 목표치를 잡고 9%가 안되게 나왔습니다. 조금 더 욕심냈으면 마음고생을 했었을 것 같습니다...

퇴직연금 현금성자산이란 무엇일까요?
1. 퇴직연금이란? 퇴직연금은 기존에 많이 알고 있는 을 뒤에 연금으로 명칭을 바꿨다고 생각하시면 참 이해하기 쉽습니다. 다만, 기존의 퇴직금 제도(퇴사 직전의 3개월 급여의 1/3 * 일한 기간)에 해당되는 건 DB형 또는 확정 기여형이라고 하며, 매년 연봉의 1/12 이상을 퇴직연금 계좌에 납입해 주는 건 DC형 또는 확정 급여형이라고 합니다. 또한, 개인이 퇴직연금을 따로 운용하는 IRP(개인형 퇴직연금)이 있죠. 여기서 첫 번째에 해당되는 DB형은 자산 운용 주체가 회사이기 때문에 지금 말하는 주제와는 어울리지 않는 형태입니다. DB형에 가입된 직장인은 자산 운용의 주체가 아니고, 회사가 자산 운용의 리스크를 감당하며 직장인의 퇴직연금을 책임져야 하죠. 하지만 DC형과 개인 IRP는 다릅니다. 직..

퇴직연금 KBSTAR고배당 | ETF 투자 내역 정리
1. 퇴직연금 매수 23년 4월 4일 평단가 11600원 15주, 저의 총 투자금액은 174,000원 입니다. 퇴직연금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마지막 금액이었습니다. 2. 퇴직연금 매도 23년 4월 13일 평단가 11795원 15주, 저의 총 판매금액은 176,925원 입니다. 아래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을 기록으로 보여드립니다. 3. 퇴직연금 매매 정리 아래와 같이 매매 내역 및 수익률을 정리합니다. 총 투자 기간 9일 리스크를 나눠서 관리해보고 싶어 3개의 ETF(수소경제테마, LG그룹+)를 구매했다가, 심리적 압박감이 단일로 관리할 때 보다 더 심해져서 이후에는 단일이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이후에는 8개월 정도 퇴직연금 투자를 쉬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