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LINKS

  • 디자인 무료 자료 및 꿀팁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GodTisu

제품 리뷰 / 재테크 관리

RS232 결선도
제품 설명

RS232 결선도

2021. 8. 2. 10:27

원 출처

http://c.doowon.ac.kr/book/Pcontrol2/week1/%ED%86%B5%EC%8B%A0.htm

 

학습목표

먼저 슬레이브가 마스트로 데이터를 출력하기전(슬레이브측의 UART TXD 신호선) 먼저 개폐신호를 출력시켜야 한다.(슬레이브측의 RS422 개폐신호(Logic "1"이면 접속 Logic "0" 이면 단락)를 참조) 즉, TXD

c.doowon.ac.kr

 

 

컴퓨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통신은 시리얼(serial) 통신과 병렬(parallel) 통신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시리얼(serial) 통신 병렬(parallel) 통신
RS232C, RS422, RS485 등이 있으며 저가로 구현되며 먼거리를 송신할 수 있다. CPU, HDD, FDD, VIDEO 등이 병렬 통신이며 고가이며 통신거리가 짧다.

 

다음은 시리얼 통신을 요약한 것이다.

Specification RS232C RS423 RS422 RS485
동작 모드 Single-Ended Single-Ended Differential Differential
최대 Driver/Receiver 수 1 Driver
1 Receiver
1 Driver
10 Receivers
1 Driver
10 Receivers
32 Drivers
32 Receivers
최대 통달거리 약 15 m 약 1.2 km 약 1.2 km 약 1.2 km
최고 통신속도 20 Kb/s 100 Kb/s 10 Mb/s 10 Mb/s
지원 전송방식 Full Duplex Full Duplex Full Duplex Half Duplex
최대 출력전압 ±25V ±6V -0.25V to +6V -7V to +12V
최대 입력전압 ±15V ±12V -7V to +7V -7V to +12V

1. RS232C

RS232C는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에 의해 규정되어 졌으며 그내용은 데이터단말기(DTE: Data Terminal Equipment)와 데이터통신기(DCE: Data Communication Equipment)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기적인 인수, 컨트롤 핸드쉐이킹, 전송속도, 신호 대기시간, 임피던스 인수등를 정의하였으나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과 내용은 지정하지 않으며 DTE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지 않는다.

 

1.1 전기적 특성

   컴퓨터 회로의 신호 레벨에서 디지털 신호 "1"은 +5V를 사용하고, 디지털신호 "0"은 0V를 사용하므로 각 신호간의 전압차는 5V이다.  그런데 통신은 가까운 곳에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곳까지 이루어지므로 5V라는 전압차로는 먼 곳까지 통신을 하기란 어렵다.

   RS-232C에서는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도 어느 정도의 거리는 안전하게 신호를 구분할수 있도록 각 신호간의 전압차를 늘렸다.  "1"의 값을 +12V를 "0"의 값으로 -12V를 사용하여 신호간의 전압차를 24V로 만들었다. 이와같이 신호간의 전압차를 늘렸을 때 약 50피트(약 15m)내의 거리에서 2000BPS(약 19.2Kbps)까지의 속도로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적 특성이란 신호의 레벨과 전압변동의 타이밍과 관련되고, DTE와 DCE사이의 부호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과 DTE와 DCE사이의 연결할 수 있는 거리가 결정된다. 

 

  *DTE(Data Terminal Equipment) : 데이터 단말장치(예 : 컴퓨터, 데이터 터미널 단말기)

  *DCE(Data Circuit_terminal Equipment) : 회선 종단 장치(예 : 모뎀)

 

1.2 기능적 특성

 기능적 특성이란 DTE와 DCE를 접속하는 각 회선에 기능을 부여하고 있으며 각 신호선의 기능에는 크게 데이터(data),제어(control),타이밍(timing),접지(ground)등으로 구분된다.

 

핀 규격

9핀 25핀 신호명 방향 설명
1 8 DCD (Data carrier detect) In 모뎀이 컴퓨터 또는 터미널에게 자신이 송수신 가능한 상태임을 알려주는 신호선이다.
2 3 RX (Receive data) In 외부 장치에서 들어오는 직렬통신 데이터를 입력받는 신호선이다
3 2 TX (Transmit data) Out 비동기식 직렬통신 장치가 외부 장치로 정보를 보낼 때 데이터가 나오는 신호선이다.
4 20 DTR (Data terminal ready) Out 컴퓨터 또는 터미널이 모뎀에게 자신이 송수신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선이다.
5 7 GND (Signal ground)    
6 6 DSR (Data set ready) In 모뎀이 컴퓨터 또는 터미널에게 자신이 송수신 가능한 상태임을 알려주는 신호선이다.
7 4 RTS (Request to send) Out 컴퓨터와 같은 DTE장치가 모뎀 또는 프린터와 같은 DCE장치에게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됐음을 나타내는 신호선이다.
8 5 CTS (Clear to send) In 모뎀 또는 프린터와 같은 DCE장치가 컴퓨터와 같은 DTE장치에게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됐음을 나타내는 신호선이다.
9 22 RI (Ring indicator)   상대편 모뎀이 통신을 하기위해서 먼저 전화를 걸어오면 전화 벨이 울리게 된다.
이때 이신호를 모뎀이 인식하여 컴퓨터 또는 터미널에 알려주는 신호선이며 일반적으로 컴퓨터가 이신호를 받게되면 전화벨 신호에 응답하는 프로그램을 인터럽터등을 통해서 호출하게 된다.

코넥터 사양

결선도

DCE와 DTE 사이에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주고 받는다.

DTE DCE
TD RD
RTS CTS
DTR DSR

데이터를 보낼 때 (DTE에서 DCE로)

1: DTR과 RTS를 연다.

2: DSR 신호를 기다린다.

3: CTS 신호를 기다린다.

4: 데이터를 보낸다.

데이터를 받을 때 (DCE에서 DTE로)

1: DTR을 연다.

2: DSR 신호를 기다린다.

3: 데이터를 받는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제품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니터 선택기(셀렉터) 분배기 멀티뷰어(분할기) 뭘 사야 할까?
    • 삼성 프린터/복합기 스캔 폴더 만들기 (CLX - 92x1)
    • HP 스캐너 네트워크 폴더 설정 방법
    • KVM 케이블 설명 (VGA 케이블)
    GodTisu
    GodTisu
    KVM, AV 솔루션 담당자 (IT 제품 리뷰, 재테크, 기술 담당)

    티스토리툴바